반응형
의존성 주입 3가지 방법 - (생성자 주입, Field 주입, Setter 주입)
스프링입문/입문2024. 11. 10. 20:37의존성 주입 3가지 방법 - (생성자 주입, Field 주입, Setter 주입)

Spring은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다양한 의존성 주입(DI; Dependency Injection) 방법을 제공한다. 의존성 주입은 필요한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것이 아닌 외부로부터 객체를 받아 사용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객체간의 결합도를 줄이고 코드의 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Autowired 는 Spring에게 의존성을 주입하는 지시자 역할로 쓰인다.의존성 주입을 해야 하는 이유Test가 용이해진다.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준다.객체 간의 의존성(종속성)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면서 유연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의존성 주입의 3가지 방법1. 생성자 주입(Constructor Injection)@Controllerpublic class CocoControll..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두 가지 방법(@Component, @Bean)
스프링입문/입문2024. 11. 9. 16:09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두 가지 방법(@Component, @Bean)

🔗 출처 : https://dev-coco.tistory.com/69Bean이 뭘까?먼저 Bean을 이해하기 위해 스프링 컨테이너(=IoC 컨테이너)에 대해 알 필요가 있다.자바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제공하는 객체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객체들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보다 서로 상호작용하여 동작하는 경우가 많다.이렇게 상호작용하는 객체를 객체의 의존성이라고 표현한다.스프링에서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객체들을 생성하면 객체끼리 의존성을 주입(DI)하는 역할을 해주며,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한 객체들을 빈(Bean)이라고 한다.스프링 컨테이너에 Bean을 등록하는 2가지 방법1.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스프링 부트에서 사용자 클래스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클래스 ..

반응형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