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I의 기초 개념](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3kDB7%2FbtsKjoaFhnp%2F6L8DcSVdxvsqKKCSOIiS30%2Fimg.jpg)
API란?키보드 같은 존재키보드는 컴퓨터를 대화를 하고 스크린으로 텍스트를 볼 수 있음즉, 키보드를 통해서 컴퓨터와 인터랙션을 함(키보드로 정보를 입력하는 것)API란 프로그램들이 서로 소통하는 방법, 인간이 아닌 코드들끼리 소통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서버에서 만든 것API는 데이터, 서버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원하는 대로 디자인 가능많은 종류들의 API들은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같은 작업을 함 ⇒ 버튼을 보여주고, 나의 코드로 그것을 누를 수 있고 원하는 작업을 수행 가능EX. 키보드를 IOS 앱에 줌 ⇒ 규칙을 정해줌 이 키는 업로드 ⇒ 이렇게 되면 키의 입력을 받으면 백엔드 데이터베이스나 서버에 가서 알려줌그렇다면 RestAPI, GraphQL API는 뭘까?그냥 다르게 생긴 키보드들임같은..
![스프링 입문 02편 IntelliJ IDEA와 Git Bash 연동과 스프링 입문](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uhM9K%2FbtrqmoIgzU6%2Fb48dOI6o2ejK3FJI5scjJ0%2Fimg.png)
1. IntelliJ IDEA와 Git Bash 연동settings을 위해 ctrl + alt + s => terminal에서 세팅 2. 스프링 웹 개발 기초1. 정적 컨텐츠 : 파일을 그대로 웹 브라우저에게 전달, 프로그래밍 할 수는 없고 원하는 파일을 집어넣으면 웹 브라우저에 그대로 반환1) 예시로 static에 html형식의 아무 파일이나 만든다 2) html 파일 복붙정적 컨텐츠 입니다.3) 빌드한다 4) 웹브라우저에 localhost:8080/파일명.html로 들어가보기(빌드 상태 유지) 5)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컨트롤러가 우선순위를 가져서 1.컨트롤러를 먼저 확인하고 2. resources 안에서 찾아서 반환해줌 2. MVC와 템플릿 엔진 : 서버에서 프로그래밍해서(변형해서) HTML을 동적..